누적분포함수란 확률론에서 주어진 확률분포가 특정 값보다 작거나 같은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. 이 특정 값이라는 것은 어떤 사건을 의미하므로 누적분포함수는 어떤 사건이 얼마나 많이/적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함수라고도 할 수 있다. 누적분포함수의 대표적인 특징은 확률변수가 이산형/연속형과 무관하게 모든 실수값을 출력한다는 것이다.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 특정 값이 나올 확률변수 X의 값이 아래와 같이 1~6로 주어져 있다고 가정하자.

이 때 만약 확률변수 X가 2보다 같거나 낮은 수가 나타날 확률이 얼마일까? 고민할 것 없이 1, 2 두 가지 경우이므로
수식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자면 왼쪽에 가까울수록 추상성을, 오른쪽으로 갈수록 구체성을 띤다. 가장 맨 왼쪽의 함수

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 누적분포함수(CDF)는 확률밀도함수(PDF) 전체에 대한 부분을 표현하는 함수라고도 할 수 있다. PDF가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전체 확률 분포를 표현한 것이라면, CDF는 전체 확률 분포에서 확률변수가
Reference
[1]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MBxOtGhFQ0
[2]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jung1pp&logNo=221597577634
'Artificial Intelligence > 확률-통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확률/통계] 적률추정법 이해하기 (Method of Moments Estimator) (0) | 2022.10.23 |
---|---|
[확률/통계] 가설 검정 이해하기 (귀무가설, 대립가설) (0) | 2022.10.21 |
[확률/통계] 베이즈 정리 이해하기 (Bayesian Theorem) (0) | 2022.10.11 |
[확률/통계] 확률분포 총 정리 (이산확률분포, 연속확률분포) (0) | 2022.09.29 |
[확률/통계] 모수 추정과 추정량, 추정치 (1) | 2022.09.28 |